시놀로지(Synology) Hyper Backup, rsync, Drive 백업, Snapshot Replication의 주요 특징
·
Network
백업 방식 장/단점 Hyper Backup- 시놀로지 전용 백업 솔루션- 다중 버전 관리 지원- 스케줄링 및 암호화 지원- 다양한 외부 저장소(클라우드, 외장하드 등)와 연동 가능- 복구 시 전용 Hyper Backup Explorer 필요- rsync 대비 느릴 수 있음rsync- 범용적인 백업 프로토콜 (리눅스 등과 호환성 높음)- 증분 백업 가능- CLI 기반 자동화 용이- 버전 관리 미지원- GUI 환경에서 설정이 상대적으로 복잡할 수 있음Drive 백업- Synology Drive와 연동하여 PC 폴더 실시간 백업-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- 파일 이력 복원(버전 관리) 가능- NAS 내 다른 저장소로 백업은 불가 (로컬 백업 위주)- 시스템 전체 백업에는 부적합Snapshot Replicati..
시놀로지(Synology) Hyper Backup(동기화)
·
Network
대상에서 백업된 파일 보존(체크해제) : 동기화대상에서 백업된 파일 보존(체크) : 증분
[보안]원격데스크톱(mstsc) 클립보드 복사 차단
·
Network
rdpclip.exe / RDP클립보드모니터 차단 => C:\Windows\System32\rdpclip.exe 작업관리자에서 프로세스 탭에... RDP 클립보드 모니터의 프로세스를 종료
내컴퓨터 IP확인(ipconfig)
·
Network
ipconfig /all > ./%computername%.txt cmd로 옮기면 됨
[Switch]Cisco Backbone
·
Network
sh interfaces | include line protocol is | bits/sec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show interface summary show mac address-table interface port번호 show arp | inc 위에나온맥주소
[Switch]L2 , L3 , L4 스위치 구분
·
Network
1. L2 스위치 - 허브, MAC정보 스위칭, 포트별 부여 - L2 스위치는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스위칭 방식으로 다른 방식의 스위치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다. - L2 주소는 MAC 주소를 뜻한다. 즉 L2 스위치의 역할은 MAC주소를 읽어 스위칭을 하고, 이것을 어떤 포트로 보낼것인지 스위칭(컨트롤)하는 장비를 말한다. - 스위치는 MAC 테이블을 가지고 있어서 이것을 기준으로 패킷을 해당 포트로 전달한다. - 하지만 라우팅이 불가능 하며, 상위 레이어 프로토콜을 이용한 스위칭이 불가능하다. 2. L3 스위치 (라우팅) - 라우팅, 기업형 공유기, IP정보를 보고 스위칭 - L3 스위치는 IP 또는 IPX 주소를 읽어서 스위칭을 한다. - 네트워크상에 흘러가는 패킷이 들어오면 L3 스위치는 목적이..
[KT]Ping Bat
·
Network
@title 00 168.126.63.1(KT) @echo off ping 168.126.63.1 -t C:\WINDOWS\system32\cmd.exe
[라우터]BGP상태확인
·
Network
KT 회선 작업 관련하여, BGP 상태 확인하는 방법 - show ip bgp summary - show ip bgp neighbor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메인 : KT_Router, 이중화 스탠바이 : Dacom_Router KT_Router -> Dacom_Router -> Internet 순서로 패킷이 흐르게 됩니다. (체감상 인터넷이 버벅거리는 정도의 순단입니다)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cmd 창에서 tracert -d 168.126.63.1 를 치면 중간에 KT Next hop '***.***.***.***'가 보임
[방화벽]session 파라미터 끊기(세션)
·
Network
방화벽 session 파라미터 끊기 http://111.222.333.444/mf2/?force=true
방화벽 tcpdump
·
Network
방화벽 실행 후, 하단 명령어 실행 실행 [root@master ~]# tcpdump -nni eth1 // 로그확인 [root@master ~]# tcpdump -nni eth1 > tcp.log // 파일떨구기 vi로 파일 실행 후, 가장 많이 눈에 띄는 아이피 유저 pc 재부팅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