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백업 방식 장/단점
Hyper Backup | - 시놀로지 전용 백업 솔루션 - 다중 버전 관리 지원 - 스케줄링 및 암호화 지원 - 다양한 외부 저장소(클라우드, 외장하드 등)와 연동 가능 |
- 복구 시 전용 Hyper Backup Explorer 필요 - rsync 대비 느릴 수 있음 |
rsync | - 범용적인 백업 프로토콜 (리눅스 등과 호환성 높음) - 증분 백업 가능 - CLI 기반 자동화 용이 |
- 버전 관리 미지원 - GUI 환경에서 설정이 상대적으로 복잡할 수 있음 |
Drive 백업 | - Synology Drive와 연동하여 PC 폴더 실시간 백업 -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 - 파일 이력 복원(버전 관리) 가능 |
- NAS 내 다른 저장소로 백업은 불가 (로컬 백업 위주) - 시스템 전체 백업에는 부적합 |
Snapshot Replication | - 빠른 스냅샷 생성 및 복원 (거의 실시간 수준) - 블록 단위로 백업해 스토리지 효율 높음 - 랜섬웨어 대응에 효과적 |
- Btrfs 파일 시스템 필요 - 기본적으로 같은 NAS 또는 다른 Synology NAS와 연동 사용 |
필요에 따라 위 백업 방식을 병행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, 예를 들어:
- Hyper Backup은 외부 저장소 백업용,
- Snapshot Replication은 빠른 롤백 및 랜섬웨어 대비용,
- rsync는 이기종 시스템 간 백업용,
- Drive 백업은 개별 PC의 사용자 데이터 보호용으로
서로 보완적으로 운용할 수 있습니다.
반응형
'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시놀로지(Synology) Hyper Backup(동기화) (0) | 2025.03.27 |
---|---|
[보안]원격데스크톱(mstsc) 클립보드 복사 차단 (0) | 2022.03.18 |
내컴퓨터 IP확인(ipconfig) (0) | 2022.03.08 |
[Switch]Cisco Backbone (0) | 2019.05.14 |
[Switch]L2 , L3 , L4 스위치 구분 (0) | 2019.04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