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실시간 로그를 볼때 자주쓰는게 tail명령이다.
일반적으로 tail -f dasida.log 과 같은 형식으로 사용하는데..
파일 용량이나 시간대가 지나서 다른파일로 바뀌게되면 매번 재실행 시켜줘야하는 번거로움이 생긴다..
이럴때는 대문자 -F 옵션을 사용하면 매번 재실행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진다 -_-b
EX ) tail -F dasida.log
tail -f /usr/local/apache/logs/access_log
출처 : http://blog.dasida.com
일반적으로 tail -f dasida.log 과 같은 형식으로 사용하는데..
파일 용량이나 시간대가 지나서 다른파일로 바뀌게되면 매번 재실행 시켜줘야하는 번거로움이 생긴다..
이럴때는 대문자 -F 옵션을 사용하면 매번 재실행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진다 -_-b
EX ) tail -F dasida.log
tail -f /usr/local/apache/logs/access_log
출처 : http://blog.dasida.com
반응형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backlog 관련 (0) | 2007.08.29 |
---|---|
하드용량 알아내기 (0) | 2007.08.29 |
ssh 포트 번호 22번에서 변경하기 (0) | 2007.08.29 |
로컬 서버의 열려있는 포트찾기 (0) | 2007.08.29 |
서버사양 알아보기 (0) | 2007.08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