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1. L2 스위치 - 허브, MAC정보 스위칭, 포트별 부여
- L2 스위치는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스위칭 방식으로 다른 방식의 스위치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다.
- L2 주소는 MAC 주소를 뜻한다. 즉 L2 스위치의 역할은 MAC주소를 읽어 스위칭을 하고,
이것을 어떤 포트로 보낼것인지 스위칭(컨트롤)하는 장비를 말한다.
- 스위치는 MAC 테이블을 가지고 있어서 이것을 기준으로 패킷을 해당 포트로 전달한다.
- 하지만 라우팅이 불가능 하며, 상위 레이어 프로토콜을 이용한 스위칭이 불가능하다.
2. L3 스위치 (라우팅) - 라우팅, 기업형 공유기, IP정보를 보고 스위칭
- L3 스위치는 IP 또는 IPX 주소를 읽어서 스위칭을 한다.
- 네트워크상에 흘러가는 패킷이 들어오면 L3 스위치는 목적이 IP 주소를 보고 적절한 포트로 패킷을 전송(라우팅 한다.)
- 즉 A라는 IP는 어느 방향으로 가고 B 는 IP는 어느 방향으로 가게하는 라우팅을 할 수 있다.
3. L4 스위치 - 스위칭, 로드밸런싱
- L4 스위치는 TCP/UDP 프로토콜에서 스위칭을 수행하므로 TCP와 UDP의 포트를 보고 적절한 서버로 패킷을 전송한다.
- 즉 L4 주소는 포트번호를 뜻하며 여기서 포트번호는 웹은 80, ftp는 20/21번, 텔넷은 23번 이런것을 뜻한다.
그리고 똑같은 IP에 대하여 포트번호가 다를 경우 다른 서버로 보낼수 있다.
출처: https://klero.tistory.com/entry/L2-L3-L4-L7-스위치-구분-및-기본적인-설명 [Klero]
'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내컴퓨터 IP확인(ipconfig) (0) | 2022.03.08 |
---|---|
[Switch]Cisco Backbone (0) | 2019.05.14 |
[KT]Ping Bat (0) | 2015.10.14 |
[라우터]BGP상태확인 (0) | 2015.08.20 |
[방화벽]session 파라미터 끊기(세션) (0) | 2015.02.27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select
- eclipse
- 오라클
- 데이터
- user
- Shell
- 서버
- 리눅스
- server
- DATABASE
- java
- 테이블
- table
- Toad
- 윈도우
- mssql
- Oracle
- delete
- apache
- 설정
- Linux
- sql
- tomcat
- 자동차
- MySQL
- 백업
- 파일
- IP
- Windows
- DB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